냉방병과 코로나 19 구분
[앵커]
요즘 폭염이 계속되고 에어컨 사용이 늘면서 냉방병 환자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코로나19가 동시에 확산되면서 환자들은 증상이 비슷해 혼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김주영 기자가 구분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기자]
밤낮을 가리지 않고 더위에 지친 날들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에어컨을 가득 틀면 버틸 수 있지만, 대신 불청객이 찾아옵니다.
에어컨 질환입니다.
찌는 듯한 더위에도 한기를 느끼고 몸살까지 앓습니다.
[최준용 / 세브란스병원 감염내과 교수 : 냉방병실 안에서 온도가 너무 낮아서 밖이 너무 더우면 두통, 신경통, 소화불량 등 적응이 잘 안 되고...]
하지만 최근의 무더위와 코로나19의 재확산으로 우려가 커졌습니다.
아프지만 초기 증상이 비슷해 냉방병인지 코로나19인지 알기가 어렵습니다.
우선 두 가지 모두 초기 증상은 콧물, 재채기, 소화불량, 피로감 등 호흡기 증상과 유사합니다.
그때부터 차이가 납니다.
냉방병은 몸이 떨리기까지 하고 두통으로 이어지지만, 몸을 녹이고 휴식을 취하면 좋아집니다.
하지만 고열이 계속되고 목 통증 증상이 지속되면 후각과 미각을 잃으면 코로나19를 의심해봐야 합니다.
[최준용 / 세브란스병원 감염내과 교수 : 감기는 열이 나지 않는 질환입니다. 가벼운 감기 유사 증상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코로나는 독감처럼 고열과 근육통이 심한 질환입니다.]
예방법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냉방병은 일정 시간마다 에어컨을 끄고 환기를 시켜야 하며, 실내 온도를 25~26도로 설정해야 예방할 수 있습니다.
한편, 코로나19는 개인위생을 철저히 준수하고, 고위험군은 매년 예방접종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