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월 20일부터 병원갈때는 반드시 신분증이 필요합니다
이제부터는 병원신분증이 의무화 됩니다
본인확인 의무화 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이제 병원을 방문할때는 반드시 신분증을 통해 본인확인 절차를 거쳐야만 한다는 소식입니다
병원방문시 신분증이 없을때 모바일로도 발급 방법이 되니
병원 모바일 신분증 발급 방법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본인 확인 의무화 제도
왜 시행하게 되었는가?
지금까지 많은 요양기관에서는 별도 본인 확인 절차없이 주민등록번호 등을 제시받아 진료를 수행했지만
편의성은 있었지만 이로 인해 무자격자가 타인의 명의를 도용하여 급여를 받는등의 제도를 악용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였습니다
앞으로는 이러한 악용사례를 방지하고 요양기관에서 본인확인을 의무화 하는 내용으로 법 개정 (법률 제 19420호)되었으며, 5월 20일부터 전국 요양기관에서 시행됩니다
5월 20일 이후부터 본인확인 가능한 수단부터 체크해보세요
1. 신분증
2.전자서명인증서 ( 공동인증서,금융인증서,디지털원패스,간편인증 pass,네이버,카카오,삼성페이,nk인증서 등)
3. 전자신분증 (모바일신증,모바일운전면허증,주민등록증 확인서비스 pass 등)
4. 통신사
주의 : 신분증사본(캡처,사진등)각종자격증 전자신분등이 아니면 사용불가 입니다
5월 20일부터 시행되는 본인확인 의무화 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병,의원을 방문할때는 반드시 신분등 본인확인이 가능한 수단을 준비 해야 합니다
모바일 신분증 설치방법안내
아래를 통해 안드로이드와 IOS 설치방법으로 바로 이동합니다
안드로이드
IOS
본인확인절차는 필수지만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본인확인을 하지 않고 진료가 가능합니다
19세 미만의 미성년자, 6개월 이내 재진을 받는경우, 처방약을 조제하는 경우, 진료의뢰 및 회송을 받는경우, 응급환자,중증장애인이나 임산부 등 의 거동불편자 등은 이전과 동일하게 주민등록번호를 제시하고 진료를 받을수 있습니다
본인확인제도 문의사항
아래를 통해 보건복지부의 본인확인제도를 자세히 알아볼수 있습니다
앞으로 제도가 원활하게 시행될수 있도록 의료기관 방문시에는 반드시 지참해주시고, 신분증 지참을 잊었을때는 모바일 앱을 간편하게 이용할수 있는것도 꼭 기억해주세요